[Webpack] 웹팩 컴파일 에러 디버깅하기
2020-01-16
웹팩 플러그인을 붙이다보면 많은 오류를 만나게된다. 심지어, 많은 플러그인들이 문서화가 제대로 안되있는 경우가 많아서 디버깅을 해야 하는일이 생긴다. 미리미리 웹팩을 디버깅하는 방법을 알아두면 큰 도움이 될것이다. 웹팩은 친절하지 않다. 웹팩은 위와 같이 어디에서 에러가 발생한건지 정확한 위치를 알려주지 않는다. 오류를 찾기 위해서 플러그인을 하나씩 제…
[Nodejs] 심볼릭 링크
2020-01-15
Node.js 에서는 간단한 모듈 불러오기 전략을 사용한다. require()로 모듈을 불러오면 다음과 같은 일들이 벌어진다. 제일먼저 코어 모듈인지 확인하고 로드한다.(Node에 기본 내장된 모듈, http 같은 모듈들..) 상대경로로 모듈이 require되었으면 그 모듈을 로드한다. node_modules의 외부 모듈을 찾는다. 만약에 모듈이 거기에 …
[Nodejs] 심볼릭 링크2
때떄로, 내 프로젝트 코드 뿐만아니라 외부에서 불러온 패키지 모듈도 같이 살펴봐야 할 때가 있다. 내가 지금 새로운 노드 모듈을 만들고 있는데 이 모듈에 대한 테스트를 아직 못끝냈다고 해보자. 이럴때 새롭게 만들고 있는 노드 모듈을 또 다른 내 프로젝트에 설치()한 다음에 테스트해볼수있다. 이때 문제가 생기면 외부 모듈과 내 프로젝트를 동시에 디버깅해봐야…
[Nodejs] node_modules의 .bin폴더의 정체
패키지 안에는 .bin이라고하는 숨김 폴더가 존재한다. 이 폴더는 뭐때매 있는건지 궁금해서 찾아보았다. .bin 이 폴더는 이름에서도 유추할수있다시피 바이너리 파일들이 저장되는 곳이다. (바이너리 파일이란 1과 0으로만 이루어진 파일이다.) 모듈을 npm install로 설치하고나서 node 방금 설치한 모듈 를 입력해서 노드로 그 모듈을 실행 할 수도있…